2021년 5월 13일 오전 1시 30분
에스타디오 완다 메트로폴리타노
주심: Juan Martinez Munuera
중계: 스포티비 나우
감독 ATM: 디에고 시메오네 OSA: 하고바 아라사테
순위 ATM: 1위 OSA: 11위
상대전적 ATM: 11승 1무 OSA: 1승
최근 5경기 ATM: 승 패 승 무 승 OSA: 승 패 패 무 승
부상 및 출장정지
ATM: 르마(햄스트링)
OSA: 루벤 마르티네스(손가락), 아리다네(체력), 호나탄 카예리(체력), 나초 비달(경고 누적)
라리가 우승을 위해 승리가 꼭 필요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다음 시즌 더 좋은 성과를 위해 유종의 미를 거둬야 하는 오사수나간의 라리가 37라운드 맞대결입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레알 소시에다드를 홈에서 2대 1로 승리하며 오사수나전을 맞이하겠고 오사수나는 홈에서 카디스에게 3대 2 승리를 거둔 뒤 마드리드 원정을 떠나겠습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올 시즌 부활한 르마의 부상 공백이 있겠고 오사수나는 주전 센터백, 주전 풀백인 아리다네와 비달의 결장이 예상됩니다.
레알 소시에다드전 승리하긴 했지만 많은 고민거리를 안게 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입니다. 바르셀로나전과 더불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최근 전후반 기복은 매우 심각합니다. 바르셀로나전 후반 xG 0.08 소시에다드전 후반 xG 0.21 전반적 각각 0.69 1.23인 전반전 기록과 너무 차이가 납니다. 물론 소시에다드전 전반에 강한 압박을 해 체력소모가 심했다 하고 소시에다드전 꼭 이겨야 할 경기였기 때문에 조금 소극적으로 운영했다는 걸 감안하더라도 차이가 너무 심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입니다. 오사수나전도 이런 기복이 지속된다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승리를 장담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오사수나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공격을 어떻게 막느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될 것 같습니다 최근 4경기 연속 2 실점의 좋지 못한 수비력을 어떻게 보완하지가 승부에 중요한 승부처가 되지 않을까 생길까 생각이 듭니다. 오사수나가 리그 최소 실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수비력을 뚫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오사수나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상대로 실점을 하지 않고 간결한 역습 한방으로 승리를 가져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바르셀로나, 레알 소시에다드전과 큰 변화가 없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입니다. 하지만 시메오네가 펠릭스와 콘도그비아의 활약이 중요하다고 한 만큼 사울 자리에 콘도그비아 코레아 자리에 펠릭스가 들어갈 수 도 있겠습니다.
부상자가 생각보다 많은 오사수나입니다 주전 센터백 아리다네와 주전 풀백 나초 비달이 결장함으로 수비진의 안정감이 조금 떨어질 수 있는 오사수나입니다.
홈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키 플레이어는 루이스 수아레스입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상대적으로 약팀인 오사수나를 상대로 승리하기 위해서는 스트라이커 루이스 수아레스의 득점력이 필요합니다. 최근 5경기 득점이 없는 루이스 수아레스가 오사수나의 수비를 뚫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원정팀 오사수나의 키 플레이어는 마요르카에서 임대 온 안테 부디미르입니다. 카디스전 선제골과 역전골을 넣으며 팀의 3대 2 승리를 이끌었습니다. 오사수나가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부디미르가 리그 최소실점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골문을 열 수 있을지에 달려있을 것 같습니다.
완다 메트로폴리타노에 도착한 라리가 우승컵과 함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승리할 것인지 아니면 레알 마드리드의 추격을 오사수나가 도울 것인지 라리가 37라운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vs 오사수나의 경기 2021년 5월 17일 1시 30분 완다 메트로폴리타노에서 시작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선수 평가도르 2편 (0) | 2021.05.26 |
---|---|
20/2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선수별 평가 1편 (0) | 2021.05.25 |
[Preview 라리가 38R 레알 바야돌리드 vs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0) | 2021.05.22 |
[review 라리가 36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vs 레알 소시에다드] (0) | 2021.05.14 |
[preview 라리가 36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vs 레알 소시에다드] (0) | 2021.05.12 |
댓글 영역